4월 20일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맞아 4월 18일 공동체 영화 상영회를 진행하였는데요.
월요일 저녁에 상영하는 영화라 약간의 걱정을 했지만,
회원분을 비롯하여 서른분이 넘는 시민들이 뜻깊은 시간에 함께 해주셨습니다.
영화 <학교 가는 길>은 서울 강서 특수학교인 서진학교의 설립과정을 담고 있는데요.
2017년, 한 주민토론회장에서 장애 학생의 엄마들이 일제히 무릎을 꿓고 있던 사진을 기억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. 당시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는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한 호소였습니다. 이후, 특수학교 필요성 증대 의견과 여론의 지지를 받아 학교는 설립될 수 있었습니다.
서진학교는 폐교한 공진초등학교의 부지에 지어졌는데요, 공진초등학교의 폐교 역시 다른 얼굴을 한 차별의 결과였습니다. 가양동 일대에 영구임대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, 공진초는 개교 이후 '영구임대아파트단지의 아이들' 이 다니는 학교라는 오명이 붙었습니다. 그로 이해 결국 학생 수가 줄고, 폐교가 되었습니다.
그 자리에 들어서는 특수학교. 어쩌면 주민들은 나를 차별하는 환경을 벗어나기 위해 또 다른 사람에게 차별을 가하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. 또한 이러한 일은 단지 특정 지역만의 일이 아닙니다. 대전에서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일이기도 합니다.
영화를 통해 본 서진학교의 설립은 단순히 장애인과 특수학교에 대한 편견만은 아니었습니다.
장애인과 특수학교에 대한 편견을 비롯하여 지역의 개발과 차별, 학교의 의미까지 많은 주제들을 담고 있었습니다.
영화가 끝난 뒤에는
<학교 가는 길> 감독이신 김정인 감독님, 대전시청자미디어센터장이신 오정훈 감독님과 함께
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.
많은 분들께서 영화를 보신 뒤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공유해주시고,
김정인 감독님과 오정훈 감독님의 풍성한 답변을 통해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었습니다.
두 감독님과 많은 분들의 참석으로 아주 뜻깊은 상영회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서 큰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
상영회에 참석해주신 분들께서도 영화를 통해 다양한 생각을 하셨을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요,
앞으로 대전복지공감의 활동에도 늘 오늘을 기억하며 다양성과 차별의 철폐를 위한 가치를 담겠습니다.
올 해 진행하는 이동권보장운동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잘 녹여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!
참석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,
좋은 날 또 좋은 컨텐츠로 다시 만날 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Comments